재활용 법에 따르면(/법령/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 합성수지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https://law.go.kr/LSW/unSc.do?section=&menuId=391&subMenuId=395&tabMenuId=409&eventGubun=060101&query=1%ED%9A%8C%EC%9A%A9%ED%92%88# 제9조(포장폐기물의 발생억제) 2. 합성수지재질(생분해성수지제품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로 된 포장재의 연차별 줄이기에 관한 기준 1회용품 사용규제에서 제외되는 1회용 봉투·쇼핑백 [시행 2021. 2. 23.] [환경부고시 제2021-39호, 2021. 2. 23., 일부개정] 환경부(자원순환정책과), 044-201-7346, 7352 제1조(사용규제대상에서 제외되는 1..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e2Xs/btrvLzEo1QU/tlOnZ6jfAnKkZKZkRQf8d0/img.png)
올해 6월 10일부터 1회용 컵도 개당 300원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런 매장은 전국에 매장을 100개이상 보유한 매장에서 가능한데요, 버려진 컵을 주워서 매장에 가져다 줘도 300원을 받을 수 있게되기 때문에 일일 30개씩 여러매장에 가져다 주게 되면 돈벌이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지하철, 버스승강장 대기 손님이 무심코 버리는 1회용 컵을 수거하여 업체에 제출하면 보증금이 빈병(130원) 보다 만이 주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돈도 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컵은 모든 컵이 되는 것이 아니라 , 컵에 보증금 반환 바코드가 찍혀있는 경우 다른 매장이라도 컵 보증금 제도를 이행하는 곳에 가져다 주면 업체가 달라도 일일 30개까지 수거가 된다고 합니다. 1회용컵 보증금..
1회용품의 분리배출 방법 1회용품의 분리배출 방법 1회용 비닐봉투 1회용 비닐봉투의 분리배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제13조제1항·제2항,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수거 등에 관한 지침」(환경부훈령 제1462, 2020. 8. 24. 발령, 2020. 12. 25. 시행) 별표 1 제1호사목 및 『재활용품 분리배출 가이드라인』 10면]. 구분 내용 해당품목 1회용 봉투 등 각종 비닐류 ※ 필름·시트형, 랩필름, 각 포장재의 표면적이 50㎠ 미만, 내용물의 용량이 30㎖ 또는 30g이하인 포장재 등 분리배출 표시를 할 수 없는 포장재 포함 비해당품목 √ 깨끗하게 이물질 제거가 되지 않은 랩필름 등 √ 식탁보, 고무장갑, 장판, 돗자리, 섬유류 등(천막, 현수막, 의류 및..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D7Ro/btrvNSpTzla/FbdKowMFp99Um9VOmKwQKk/img.png)
law.go.kr/법령/근로기준법/제60조/ 근로기준법 제60조 재2항은 다음과 같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 누가 : 사용자는 - 누구에게: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 조건: 1개월 개근 시 - 무엇을: 1일의 유급휴가를 - 어떻게: 주어야 한다. 예시) 3월 2일부터 근로를 개시한 경우, 4월 1일이 출근하여 일을 하게 되면, 1개월 개근이 되며 이날 발생하는 것이나 이날 출근하여 근무를 마감해야 익일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만약 이 날 유급휴가를 사용하게 되면, 만근(개근)이라는 조건이 소멸하게 되기 때문..
law.go.kr/행정규칙/1회용품 사용규제관련 업무처리지침 자원재활용법 제10조 1회용품 사용제한 제10조(1회용품의 사용 억제 등) ①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또는 업종을 경영하는 사업자는 1회용품의 사용을 억제하고 무상으로 제공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다만, 1회용품이 생분해성수지제품인 경우에는 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1. 「식품위생법」 제2조제12호에 따른 집단급식소 또는 같은 법 제36조제1항제3호에 따른 식품접객업 2. 「식품위생법」 제36조제1항제1호에 따른 식품 제조업ㆍ가공업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종 3. 「공중위생관리법」 제2조제1항제3호에 따른 목욕장업 4. 「유통산업발전법」 제2조제3호에 따른 대규모점포 5.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
PCR은 polymerase chain reaction의 약자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이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전 정보를 담은 유전자는 사람이나 세균의 DNA에 저장되어 있는데, 유전정보를 분석하면 잘 알 수 있지만 이중나선구조로 이루어진 DNA는 일반적인 양으로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힘듭니다. PCR검사는 이러한 경우 미량의 DNA를 단시간 내에 수천 배로 증폭시켜 유전자 분석을 해주는 방법입니다. 무증상인 균도 확인할 수 있어 감염병 검사에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PCR 방식의 검사는 성병검사, 코로나감염, 세균성 전립선염, 요도염 질염 등에 효과적인 진단결과를 제공합니다. 질병관리본부 인증을 받은 병원과 보건소에 설치된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한 검사를 시행한다. 우선 코로나19가 의심되는 ..
https://www.guro.go.kr/upright/downloadBbsFile.do?atchmnflNo=187892&bbsNo=593&nttNo=49790&&pageUnit=10&key=1532&pageIndex=5 예산집행(e호조) 개별상시모니터링 결과보고.hwp 내용 분야별 지적사항 및 조치의견 동일 채권자 계좌 다수 등록 지출 내역 □ 추출기준 : 동일한 사업자번호에 대해서 여러 개의 계좌번호로 지출된 내역을 추출 □ 부적정처리 : ◯건 ○ 거래처 등록 시 사업자번호를 다른 거래처와 동일하게 착오 입력하였음 - □□□□과 ◯건, □□과 ◯건, □□□□□과 ◯건, □□□□과 ◯건 ⇒ 조치의견 : 거래처 사업자번호 정확히 입력토록 할 것 지급품의 등 전산 소급등록 □ 추출기준 : 발의일자가 실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PVkXh/btsGbzB3Sbc/fItwtkCmn2HeEkJCkseTu1/img.png)
관련글: 증빙서류의 보관방법 연찬, 지방자치단체 회계관리에 관한 훈령회계실무편람 일상경비 등예산과목 부적정 집행내역(공공운영비, 사무관리비)세출예산 및 항목별 지출 품목 기준 연찬2024년도 일상경비 교부기준 / 대전광역시 동구예산의 배정과 일상경비 교부과목경정 등록(일상경비)자치구 예산 및 기금의 회계관리에 관한 규칙 (연찬)일상경비 관련 법규 연찬지역개발공채(채권) 연찬세입세출외현금과 관련된 법규 신규직원도 이해하기 쉬운 회계업무 프로세스_대전광역시.pdf 일상경비 집행실태 검사시 참고자료 점검매뉴얼.hwp 회계실무편람(부여군, 180220).pdf 2021 통합회계실무(결재 최종).hwp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9ARHM/btrtB7D2Rdi/joqzqOKqOInJjFJzlhK0h0/img.jpg)
식물성 유지(폐식용유) 저장 탱크 용접작업중 폭발, 폐식용유를 분리수거 하자는 의견도 있지만, 폐식용유 재활용 처리업체가 자신의 주택앞에 설치되는 것은 반대를 한다. 폐식용유 수거함은 설치를 하면 그만큼 유지관리가 필요하지만, 유지관리에는 행정력과 인력이 필요하지만 그러한 예산수립이 없이 폐식용유 수거함만 설치하는 경우 결국, 지저분한 수거함이 환경오염의 온상이 된다. "수거통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수거통이 매우 더럽고, 방치된 경우도 있어 시민들이 수거통 설치나 분리배출을 외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분리배출을 위한 용기 설치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용기 설치율은 높은 반면 수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 폐식용유 화재사고 관련 , 2021년 7월 ..
나는 예전에 대학때 알고지낸 빚돌이가 있었다. 이 빚돌이는 대학생인데도 차량을 몰고 다녔었다. 자취방이 학교에서 걸어서 5분거리 임에도 그는 차가 꼭 필요하다고 했다. 그건 빚을 내서 살 수 있었고 할부금은 카드로 현금서비스를 받아서 카드 돌려막기도 했었었다. 그리고 그 빚을 어떻게 갚았는지 모르겠지만 나에게만은 돈을 빌리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그가 그렇게 많은 돈을 빌린지 잘 모르고 만났었다. 그 동안 나는 변변찮은 직없도 없고 내가 가진것도 없고 해서 내게 빌리지 않았던 것이였는지 내가 직업을 가지고 어느정도 자리를 잡은 뒤에도 나에게만은 돈을 빌리지 않고 지냈었다. 그런데 어느날 2010년 정도 였을까? 직장을 다니느라 바빠 소흘해져 있었는데 그러던 어느날 그는 내게 자신이 경제적으로 어렵고 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