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위대가(一位代價)란?
단위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노무비를 계산한 값을 의미하는데, 말 그대로 수량 단위 당 비용을 산정한 것입니다.
일위대가 = 단위당 공사비
일위대가는 한 개의 단위당 기본이 되는 재료 및 인력품 등을 금액으로 환산한 것으로 이를 기록한 문서를 일위대가표라고 한다. 즉 일위대가란, 공사에 쓰일 재료비, 인력비 등 (각 자재별 단가)을 현재 단가 1개 기준으로 잡아 공사 규모에 맞게 곱하여 총 공사 단가를 산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좀 더 전문용어를 사용하여 정의한다면,
표준 일위대가라 함은 표준품셈이 정한 투입자원 구성(항목·규격), 수량·단위, 재료할증, 지세할증 등의 각종 할증요소까지 모두 반영된 표준 산출근거(호표) 하에서 작성된 단위당 공사비를 의미함.

반면 공사원가라 함은 공사시공과정에서 발생한 재료비, 노무비, 경비의 합계액을 말한다.
일위대가표
표준품셈을 이용해서 단위작업의 공사비를 산정하려면 단가 자료를 적용하기 쉽게 일위대가표를 작성합니다. 일위대가(一位代價)는 단위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노무비를 계산한 값을 의미하는데, 말 그대로 수량 단위 당 비용을 산정한 것입니다.
벽돌쌓기의 표준품셈을 보면 벽돌을 쌓는 벽면의 면적(m²) 당 재료량과 노무품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3.6m 이하의 0.5B쌓기를 한다고 가정하고 일위대가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벽돌쌓기 단위 면적 m² 당 각각의 재료와 노무의 수량이 얼마나 들어가는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겠죠? 표준품셈을 보면 재료에 해당하는 벽돌은 75매가 필요하다고 되어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는 아래와 같이 매년 다음년도의 표준품셈을 공고한다.
국토교통부 공고 제2022-1623호
2023년 적용 건설공사 표준품셈 공고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9조제1항제3호 및 「예정가격 작성기준(기획재정부 계약예규 제577호)」제38조제4항, 「건설기술진흥업무 운영규정(국토교통부 훈령 제1564호)」제88조제4항에 에 따라 "2023년 건설공사 표준품셈"을 다음과 같이 공고 합니다.
2022. 12. 30.
국토교통부장관
1. 제정목적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는 건설공사의 예정가격 산정 기초자료 제공
일위대가는 아래와 같이 작성되어 있다. (예시)

구글에서 'ㅇ년도 공사비 원가 및 일위대가 알림'으로 검색을 하면 공개된 일위대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일위대가가 법이나 규정에 포함된 사례
조달청 시설공사 가격조사 및 관리업무 규정

전기공사 표준시장단가 관리규정

실적공사비 및 표준품셈 관리규정

문화재수리 표준품셈

'법연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륜차 소음 피해 신고 관련, 소음규제 강화(2023년 7월부터) (0) | 2023.07.01 |
---|---|
건축물 용도변경 방법, 세입자가 가능한가? (0) | 2023.06.30 |
과태료처분에 대한 이의신청 / 비송사건 (非訟事件) (0) | 2023.06.29 |
폐기물 반입협력금이란? (0) | 2023.06.29 |
계약 관련 유권해석 및 감사사례 등 pdf (0)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