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보험 상실일자부터는 보험이 적용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퇴사일을 보험상실일과 같게 하는 경우, 마지막 근로일에 보험이 없는 것이 되기 때문에 퇴사일 다음날이 상실일이 된다.
따라서 4대보험의 상실일자는 퇴사일 + 1일이 된다.
퇴사일을 상실일과 같게 하는 경우, 건강보험 등의 혜택이 퇴사일자에 적용되지 않게되어 하루의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퇴사일이 10월 31일인 경우 11월 1일을 상실일로 입력해야 한다.
참고글 : https://m.blog.naver.com/tjmh82/221532165465
반응형
'법연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 화장실 설치의 의무 대상 시설 및 설치 기준 등 법적 기준 해설 (0) | 2022.09.26 |
---|---|
사업자 등록을 안 할 경우 처벌 (0) | 2022.09.26 |
근로기준법상 단기근로자란? (0) | 2022.09.11 |
대전환경사업지방자치단체조합 TMI (0) | 2022.09.08 |
영업용 번호판 기준 (0) | 2022.09.02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