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목록] 1. 폴더명 정리 2. 상위업무 분류에서 세부업무 분류로 3. 업무 파악은 사업명세서에서 문서등록대장으로 4. 폴더구분은 업무별이 상단, 연도별이 하단 5. 자주 사용하는 폴더는 즐겨찾기에 추가 6. 자료이동 및 전달은 웹하드 7. 공문 서식참조 추가 8. 한글 및 엑셀 단축키 암기 9. 관인이 필요한 문서는 온나라 공문 자동날인 10. 보고서, 계획 작성 시 문서 상단 결재선 자동 입력 방법 -최초작성일: 2022.01.24 [바탕화면] 에는 폴더를 최소화 한다. 바로가기 폴더를 화면 우측에 붙여서 정리해둔다. 이렇게 하는 경우, 바탕화면에 최근 생성되는 아이콘은 왼쪽상단부터 정렬이 되므로, 최근 생성된 쓰레기 임시파일을 삭제하기 좋다. [바탕화면] 회신해야 하거나 제출해야하는 등 기한 ..

[비회원으로 가능] 1.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 계좌입금 사이트 접속 > URL : https://m.cardpoint.or.kr/ 2. 통합조회&계좌입금 클릭 3.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관한 동의 진행 4. 위임장 처리를 위하여 본인인증 진행(휴대폰 인증/신용카드 인증/아이폰 인증)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조회 서비스 21년 1월 5일부터 실행 여신금융협회에서 카드포인트 조회 서비스를 21년 1월 5일부터 실행한다. 신한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BC 카드 등 대형카드사부터 우체국 카드까지 총 11개 카드사의 포인트를 조회할 수 있으며, 카드포인트를 본인계좌로 입금할 수 있어 기간만료로 소멸되는 카드 포인트와 사용하기 어려움을 쉽게 해소할 수 있다.

전자문서와 전자화문서는 전자정부법과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에서 정의가 유사하지만 전자정부법에서는 명확하게 정의를 구분하였다. 공공기관의 공문을 전자적형태로 발송하고 수신하는 과정에 기록물을 보관 관리하는데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법규를 보면 전자문서와 전자화문서를 따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aw.go.kr/법령/전자정부법/제2조/ 제2조(정의) 7. “전자문서”란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지닌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어 송수신되거나 저장되는 표준화된 정보를 말한다. 8. “전자화문서”란 종이문서와 그 밖에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지 아니한 문서를 정보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문서를 말한다. law.go.kr/법령/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

많은 기관에서 전자문서로 생산한 기록물을 다시 출력해서 종이기록물로 재 편철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적으로 생산이나 접수된 문서는 그 전자문서 자체가 진본이기에 별도로 출력해서 보관할 필요가 없다. 전자문서는 그 자체가 진본이므로 별도로 종이로 출력하여 관리할 필요가 없이 접수인을 찍어서 종이문서로 이중 보관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 전자화 문서 즉, 종이문서인 원본을 스캔한 문서는 '전자문서'와 달리 '전자화 문서'라고 하는데 전자화문서의 경우는 그 원본을 우편 등의 방법으로 접수하여 종이문서로 관리하여야 함. 출처: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이슈페이퍼 제29호.pdf 첨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이슈페이퍼 제29호.pdf 법령/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규칙 제7조(기록물의 분류 및 편철..

수익이 대단하지는 않지만, 조금씩 들어오는 수익을 보자면 티스토리를 한 지는 약 3년정도 되어간다.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는 글을, 나에게는 소장할 만한 기록을 그게 나중에 도움이 될만한 지침이 될만한 기록을 노트처럼 기록해봤다. 큰 수익은 아니고 이걸로 경제적으로 도움이 크게 되지는 않지만, 가끔 소소하게 지인들에게 커피한 잔 사줄 정도는 되는 것 같다. 한달 수익은 10달러 겨우 1만원 조금 넘는 돈이지만 소소한 수익이 재미있다. 그저 나의 글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을 하며 만족을 하고 있다. 물론 한달에 몇십만원씩 들어온다면 더 열심히 더 많은 더 양질의 글을 남기고 싶지만.. 잘나오면 하루에 1달러 한달 30달러,한화로 3~4만원 전기요금 나오는 수준이다. 조금씩 글을 쓰고, 다른 사람들에게 도..

과거에는 매년 12월 31일이 되면 비전자기록물을 등록하느라 바빴다. 그도 그럴 것이 과거에는 전산시스템에 소급등록 기능이 없었고 그래서 일부 직원들은 12월 31일이 지나면 기록물을 전혀 등록할 수 없는 것처럼 알고 있는 직원도 있다. 하지만 기록물은 2월 말까지는 소급 등록이 가능하다. A. 기록물의 등록은 기록물을 생산·접수한 때에 업무관리시스템에 등록하며, 등록이 누락된 기록물이 있는 경우 기록물 정리 기간인 익년도 2월 말까지 등록해야 합니다. 그러나 문서등록번호가 빠졌다고 해서 효력이 없다고 할 수 없으므로 아래의 방법을 참고하여 기록물로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업무관리시스템 등록 불가 - 소급기간이 지난 후 등록하면 기록물의 생산연도가 등록연도로 적용됨 - 예시) 2021년 기록물을 정리 ..

Q. 비전자기록물를 모아둔 기록물철은 또 한 번 등록하나요? A. 등록 대상이 아닙니다. 등록은 기록물건 단위로 등록하기 때문에 기록물건이 모여서 만들어진 기록물철은 기록물 등록 대상이 아닙니다. 단, 지출증빙서와 같이 기록물의 특성상 새롭게 가공된 철의 성격을 가지는 것은 관리의 효율성을 위하여 1권을 1건으로 비전자문서등록을 실시합니다.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18조(기록물의 등록ㆍ분류ㆍ편철 등) ○ 같은 법 시행령 제20조(기록물의 등록), 제23조(편철 및 관리) ○ 같은 법 시행규칙 제4조(기록물의 등록), 제13조(기록물철의 분류번호 표시) ○ NAK 3:2021(v2.4) 「처리과 기록관리 업무처리 절차」 제5절, 제6절
올해부터 ‘제3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 시행…친자연적 장례문화 확산 취약계층 공영장례 지원확대, 장례 복지 강화…온라인 추모·성묘 문화 활성화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화장한 유골을 산·바다 또는 특정 장소 등에 뿌리는 장사방식인 ‘산분장’의 제도화·활성화로 친자연적 장례문화를 확산한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추진하는 ‘제3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을 5일 발표, ‘요람에서 무덤까지’ 복지 정책을 ‘무덤 이후’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자연·사회적 재해, 감염병 등 국가재난대비 장례대응체계를 강화하고, 무연고자 등 취약계층 공영장례 지원 확대로 장례 복지도 넓힐 계획이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온라인 추모·성묘 문화를 확산한다. 특히 현재 378기..

소공인 및 소공인 근로자 권익보호 법적근거 / -「도시형소공인지원에관한특별법」 개정 법 률공포- □ 휴게시설 및 복지시설 설치 등 소공인 및 소공인 근로자를 위한 권익보호와 복지 증진,고용안정 지원을 위한 법적 토대 마련 □ 소공인 및 소공인 근로자에 대한 노무상담,교육훈련 및 일자리 알선 등으로 소공인에 대한 안정적 인력 수급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소공인 및 소공인 근로자의 권익보호와 복지증진 지원을 위한 「도시형소공인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소공인법”이라 한다.)개정안이 지난해12월27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데 이어 2023년 1월 3일 공포됐다고 밝혔다. 도시형소공인은 우리 산업의 근간임에도 열악한 작업환경 등으로전문인력양성과 기술전수에 어려움이 있어 소공인이 보유한 핵심기술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