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것을 무시하고 "웬"은 "무슨"으로, "왠"은 "왜인"으로 바꾸면 말이 됩니다. 웬은 '엥?'으로 일단 느낌을 가져봅니다. (왠은 왜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웬에도 무언가 느낌이 있어야 두 개체를 뇌가 쉽게 구분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게 웬 떡이지?"는 "이게 무슨 떡이지?" 하면 문장이 자연스럽습니다. 또다른 예로 "오늘은 왠지 비가 올 것 같아."는 "오늘은 무슨 비가 올 것 같아." 하면 어색한 문장이 되고 이경우에는 "오늘은 왜인지 비가 올 것 같아."는 자연스럽게 문장이 만들어집니다. 이것도 복잡하다면 "왠지"는 무조건 "왜인지"가 줄어든 단어로 기억하고 "왠지"로만 씁니다. "웬지"는 틀린 말로 "무슨지?"가 되기 때문에 "웬지"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이 것을 확..
이런 저런 방법들이 있겠지만 계속 옳은 것만 사용해서 그게 습관이 되도록 하면 그 경험과 기억이 누적되어 항상 맞는 것만 쓸 수 있게 된다. 물론 나의 경우는 어릴 때부터 그냥 마구잡이로 써 왔기 때문에 매 번 확인을 하고 지금도 잊어버리지 않고자 이렇게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주 헷갈리는 단어를 사용 전후에 수시로 맞춤법을 확인한다면 앞으로는 맞게 글을 쓰게 될 것이고 그게 앞으로 계속 습관으로 고착되리라 믿는다. 여기서 확실한 것 하나는, '돼'로 끝나는 문장은 무조건 '돼'로 끝난다. ‘되’는 '되다'라는 동사로 무조건 어미(어,요,나,고,는 )가 붙어야 하기 때문에 ‘되’로 문장을 마치면 안 된다. 즉, '되'는 단독으로 쓰여선 안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되'뒤에는 어미가 붙어 '되어'가 되..
웬지는 틀린말 입니다. '왜인지'가 줄어든 말이므로 '왠지'로 표기합니다. 매번 왠지라는 것을 타이핑 할 때는 어느게 맞는지 한 번쯤 검색을 하게되는 단어입니다. 절대 틀리지 않는 방법은 자주 맞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제일 좋고 한동안 습관적으로 카카오톡 문장에 섞어주도록 하면 이후 자연스럽게 익힐 수가 있습니다. - ex) 왠지 맥주가 생각나는 날인데, 오늘은 왠지 뭔가 일이 잘 풀릴 것 같아. 어제 왠지 달갑지 않은 그의 표정을 봐서인지, 왠지 좀 출근하기 싫은데, 그래서인지 왠지 입맛이 없다. 그래도 헷갈리면 아래 포지션의 왠지 라는 노래를 들어보면 도움이 될 듯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Q8KNuxbojg 다음은 아래 국립국어원에 나온 설명을 보도록 하자.
요약: 비용은 결제($)를, 상사 재가를 받을 때는 결재(OK) 결재는 재판과 같은 재, 결제는 경제와 같은 제 결제(決濟)와 결재(決裁) 직장인들이 종종 틀리는 경우가 있는 단어로 결제하다와 결재하다가 있다. 이 단어는 뜻 밖에 손쉽게 각인시키는 방법이 있다. 결제의 ㅔ 의 사이에는 세로로 카드가 지나갈 길이 있다. 결제($)는 비용을 지불할 때 사용하는 단어이고, 따라서 상대되는 결재는 재량에 따라 상관이 승인하거나 반려하는 경우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 ㅔ 의 ㅓ ㅣ 사이를 카드가 지나가는 길이라고 상상하자) 소소한 맞춤법이지만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단어중 하나로 다른 직원들은 틀리지 않는데 나만 틀린다면 그 작은 실수가 자신에 대한 신뢰가 깎이는 것임을 유념하도록 하자. 1. 결..
베개를 베다. (O) 배개(X) take a pillow. 일부 어르신께서 "벼개"라고 하시기도 하는데, ㅕ 발음은 ㅐ 보다는 ㅔ가 더 가까운 발음이기에 벼라는 발음이 나중에 '베'라고 바뀐 것으로, 베개로 머릿속에 각인 시켜주면 된다. 참고로 간단한 도구나 받침대의 경우 ㅇㅇ개 라고 한다. 지우개, 지개, 마개 를 생각하면 뒤에가 ㅐ 가 들어간다는 것은 쉽게 생각할 수 있다. 결제($) : 결재(OK) , 결재(決裁) 결제(決濟) 직장인들이 종종 틀리는 경우가 있는 단어로 결제하다와 결재하다가 있다. 이 단어는 뜻 밖에 손쉽게 각인시키는 방법이 있다. 결제의 ㅔ 의 틈새로는 카드가 지나가니 결제($)는 비용을 지불할 때 사용하는 단어고 결재는 재량에 따라 상관이 승인하거나 반려하는 경우 사용하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