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Tdap (Tetanus(파상풍) Diphtheria(디프테리아), Pertussis(백일해) ]


백일해(百日咳; 문화어: 백날기침; 영어: pertussis)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세균병이다.

咳 '기침 해' 라는 한자만 봐도, 백일동안 하는 기침이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일해균(학명: Bordetella pertussis)으로 일어나는 어린이의 호흡기 전염병으로서, 한번 걸리면 평생 면역이 된다. 초기 증상은 대개 콧물, 발열, 가벼운 기침 등으로 일반적인 감기의 증상과 매우 비슷하지만, 몇 주 동안 심한 기침 발작이 뒤따른다는 차이가 있다. 기침 외에도 고음의 윙윙 소리가 나거나 숨이 막히기도 한다. 기침이 10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므로 백일해라 불린다. 기침을 너무 심하게 해서 구토나 늑골 골절, 피로가 발생하기도 한다. 1살 이하의 경우 기침 대신 무호흡을 보일 수 있다. 감염으로부터 대략 7~10일 후에 증상이 발생한다.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나, 이 경우 경미한 증상만 보인다.

Whooping cough, also known as pertussis, is a very contagious respiratory illness caused by a type of bacteria called Bordetella pertussis. The disease is only found in humans. Whooping cough bacteria attach to the cilia (tiny, hair-like extensions) that line part of the upper respiratory system.

 

 

 

 

Q. 백일해 무엇인가요?

A.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그람 음성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흡’ 하는 소리, 발작,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 14일 이상의 특징적인 기침 양상을 보인다. 연령이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아 1세 미만의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나 현재는 예방접종으로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Q. 백일해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A.콧물, 결막염, 눈물, 경미한 기침, 낮은 발열의 가벼운 상기도염 증세를 보이는 전염력이 강한 시기가 1~2주 지속된 후 발작적으로 짧은 호기성 기침이 연발되다가 끝에 길게 숨을 들이쉴 때 ‘흡’ 하는 소리가 나는 특징적인 발작성 기침이 나타나다. 기침이 나는 동안에 얼굴이 빨개지고 눈이 충혈되며, 기침 끝에 구토가 동반되고 끈끈한 점액성 가래가 나오기도 하는데 2~4주 또는 그 이상 장기간 지속되기 때문에 백일해라고 한다. 심한 경우 무호흡, 청색증, 비출혈, 격막하출혈 및 하안검 부종 등을 볼 수 있다. 회복기에 접어들면 기침의 정도와 횟수, 구토가 점차 감소하는데 약 1~2주 지속된다.

 

 


Q. 백일해는 어떻게 감염되나요?

A.감염경로는 비말 등의 공기매개감염 또는 환자나 병원체보유자의 호흡기 분비물과 직접 접촉으로 전파되며, 전염력은 높다. 잠복기는 7일~20일 정도이고 격리기간은 항균제 치료중인 경우 치료 5일 후까지이고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는 기침이 멈출 때까지 최소한 3주정도 이다.

 


Q. 백일해는 누구에게나 위험한가요?

A.어떤 연령층에서도 걸릴 수 있으나 주로 5세 이하의 어린이에게서 걸린다. 특히 1세 이하가 50%를 차지한다. 백일해에 의한 사망의 약 80%는 1세 이하의 영아에서 나타나며, 70%는 6개월 이내의 영아에서 나타난다. 특히 영양상태가 안 좋은 환아나 호흡기 감염증, 위장염을 동반한 환아에서 사망률이 높고, 폐렴이나 저산소성 뇌증 등으로 사망하게 된다.


Q. 예방접종은 어떻게 받아야 하나요?

A.예방접종을 통해 백일해를 예방 할 수 있다.

예방접종명 : DTaP(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기초 접종 : 생후 2개월부터 2개월 간격으로 3회 접종
추가 접종 : 생후 18개월과 만 4~6세 추가접종

 

Q. 백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나요?

A.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다.

7세 미만의 소아는 예방접종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 연속적으로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예방접종이 안 된 영·유아는 사람들 많이 밀집된 장소는 피한다.
백일해에 걸린 사람 주위에 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은 소독한다.
접촉자관리에 따라 접촉자는 연령이나 예방 접종력에 관계없이 환자가족이나 밀접한 접촉자는 예방적 화학요법 필요하다.

 

Q. 아이가 백일해에 걸렸다면 얼마나 오랫동안 격리시켜야 하나요?

A.백일해균에 노출된 지 평균 7일까지는 증상이 없는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가 지나면서 기침을 하기 시작하고부터 3주간 다른 사람에게 균을 전파시킬 수 있어 전염이 잘되는 기간이며,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면 전염기간이 5∼7일로 감소될 수 있다. 전염기간동안 기침과 재채기로 대량의 백일해균이 배출되어 주위에 감수성 있는 유아에게 전염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격리시켜야 한다.

 

출처: 서초보건소

 

백일해설명_URL.txt
0.00MB

 

 

 





백일해(Pertussis)

정의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을 의미합니다. 여름과 가을에 백일해의 발병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합니다. 연령이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아지며, 1세 미만의 사망률이 가장 높습니다. 현재는 예방접종으로 인해 백일해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습니다.

원인
백일해 감염은 백일해 환자와의 직접 접촉, 기침 및 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전파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백일해에 감염되었지만 특징적인 백일해 소견이 없는 어른 및 큰 어린이가 소아의 주요 감염원 역할을 합니다. 성인의 경우 드물게 2주 이상 계속되는 만성 기침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증상
백일해의 잠복기는 4~21일이며, 그 특징은 6~8주에 걸쳐 3단계로 구분됩니다. 초기는 가장 전염력이 강한 시기입니다. 1~2주 정도 계속됩니다. 콧물, 결막염, 눈물, 경미한 기침, 발열 등의 가벼운 상기도 감염 증상이 나타나다가 기침이 점차 심해지면서 기침 끝에 '흡'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기침이 심할 때 얼굴이 빨개지고 눈이 충혈되며, 기침 끝에 구토가 동반되거나 끈끈한 가래가 나오기도 합니다. 중기는 2~4주 정도 혹은 그 이상 계속됩니다. 무호흡, 청색증, 비출혈, 경막하 출혈, 하안검 부종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회복기에 이르면, 기침의 정도, 횟수, 구토가 점차 감소합니다. 이는 1~2주 정도 계속됩니다.

진단
백일해는 특징적인 기침 양상, 백일해 환자와의 접촉 병력, 말초혈액 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비인두에서 얻은 균 배양 검사, 유전자 검사(PCR)를 통해 진단합니다.

치료
백일해를 완화하거나 예방하기 위해서 잠복기나 발병 14일 이내에 항생제인 아지스로마이신을 투여합니다. 3개월 미만의 영아, 심폐 질환 및 신경 질환이 있는 소아의 경우 합병증에 의한 2차 건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병원에 입원하여 경과를 관찰해야 합니다.

경과
백일해의 합병증은 나이가 어릴수록 많이 나타납니다. 신생아는 심한 발작적인 기침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의 경우 기관지 폐렴, 무기폐,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결핵의 악화, 중이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산소증, 경막하 출혈, 뇌출혈, 뇌출혈에 의한 경련, 속발성 뇌염, 비출혈, 각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외에 설사, 구토, 설하 궤양, 탈항 및 탈장 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주의사항
백일해 환자의 기침을 통해 나오는 파편물에 의하여 다른 감염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말 격리를 해야 합니다. 백일해 환자는 적절한 치료를 시작한 후 5일까지 격리되어야 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지 않은 아이라면, 증상 시작 후 3주까지 격리되어야 합니다.



 
 
Pertussis, a respiratory infection caused by the bacterium Bordetella pertussis, was nearly eliminated when vaccination began in the 1940s but has made a comeback since the mid-1970s.

Why has pertussis—more commonly known as whooping cough—experienced a resurgence in the United States? It’s probably not due to an ineffective vaccine, according to a team of UGA researchers, but rather is a predictable consequence of incomplete vaccination coverage.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revealed that there has been no change to the epidemiology of pertussis that is causing the rise in the number of cases,” says senior author Pejman Rohani, who has a joint appointment in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and the Odum School of Ecology. “Instead, it is a function of the way vaccines were administered over the decades. It is an effect that takes a long time to manifest.”

Pertussis is a respiratory infection caused by the bacterium Bordetella pertussis, which can cause serious infection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Routine vaccination for the disease began in the 1940s and led to a hundredfold decrease in the number of reported cases—to the point that the prospect of eliminating the disease seemed possible. But, since the mid-1970s, pertussis has made a comeback.

Rohani and his team examined long-term surveillance data from Massachusetts to try to understand why.

The most popular theory on the increase of pertussis cases is that the new generation of vaccines is somehow flawed, but Rohani and his colleagues saw no evidence to support this idea. Instead they found that today’s pertussis vaccines, like earlier ones, are largely very effective.

They discovered that high rates of vaccination when the vaccine was first introduced led to an overall decrease in transmission across the population. Due to “herd immunity,” even those who weren’t vaccinated were therefore less likely to contract the disease.

As vaccinated individuals aged, however, the protection afforded by the vaccine began to wear off in some cases. Furthermore, there are fewer and fewer people alive today who survived pertussis infections in the days before vaccination and thus gained lifelong immunity.

This combination means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susceptible to contracting pertussis is slowly rising—setting the stage f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cases, especially in older individu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serve as a guide for future vaccination campaigns. The model identifies the core transmission group to be schoolchildren, so the researchers recommend focusing vaccination campaigns on that group, rather than the current emphasis on vaccinating adults. Going forward, researchers will further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ssess the number and frequency of booster vaccines.

The team’s findings were published in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The paper’s co-authors include scientists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the Institut Pasteur at the University of Versailles St-Quentin-en-Yvelines, and the University of Manitoba.

This story appeared in the fall 2018 issue of  Research Magazine. The original press release is available at https://news.uga.edu/uga-research-study-explores-resurgence-of-pertussis/.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