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백열전구는 전구는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이기 때문에 불연성 쓰레기 봉투(PP마대)에 넣어서 버려주세요.
자료출처: 생활법령정보 재활용품 분리배출 가이드라인.pdf
2014년부터 백열전구의 생산과 수입이 금지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08년 12월 발표한 백열전구 퇴출 계획에 따라, 예정대로 2014년 1월부터 국내 시장에서 백열전구의 생산과 수입이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백열등은 130년간 사용됐지만 전기에너지의 95%가 빛이 아닌 열로 낭비되는 저효율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미 지난 2008년 12월 정부는 백열등을 단계적으로 판매 금지하는 ‘백열전구 퇴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ㅇ 2014년부터 백열전구 생산․수입 금지
- 단계적 기준강화로 고효율 조명기기로의 시장전환 추진 -
브리핑(에너지수요관리정책단장) 주요내용
‘14년부터 저효율 조명기기인 백열전구 생산․수입 전면 금지
대체조명인 안정기내장형램프나 LED램프를 사용할 경우, 각각 연간 유지비용(제품비용, 총 전력사용량 고려) 66%, 82% 절감 가능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고효율 조명기기 보급 확산과 안정적인 시장전환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경주할 계획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08년 12월 발표한 백열전구 퇴출계획에 따라, 예정된 대로 ’14년부터는 국내시장에서 백열전구의 생산․수입이 전면 중단될 것이라고 밝힘
ㅇ (퇴출의미) 이로써 약 130년간 인류의 삶을 개선시켰으나, 동시에 전기에너지의 95%를 열로 낭비하는 대표적 저효율 조명기기이기도 한 백열전구는 국내시장에서 사실상 퇴출되며,
* 에디슨(美)과 조셉윌슨 스완(英)이 1879년 발명(국내 최초도입 : 1887년, 경복궁)
ㅇ (시장전환) 대체조명인 안정기내장형램프, LED램프 등 보다 에너지효율이 높은 광원으로의 ‘세대교체’가 가속화될 전망임
자세한 내용은 붙임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는 마치 빛을 밝히기 위해서 과거 호롱불을 켜두었던 조선시대의 분위기를 생각해보면 된다. 초는 불의 열에너지와 함께 빛을 방출하는데, 백열전구가 그러한 유사한 과정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열에너지 손실이 너무 큰 비효율적인 조명기구이다.
그래도 쇼핑몰에서 검색하면 백열전구는 판매하는 것을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aWiyX830Q8
'생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보상제 고찰, 무인회수기 ? ? (0) | 2023.06.09 |
---|---|
공무원 퇴직급여 사전 청구방법(인터넷 본인 직접청구) (0) | 2023.06.08 |
ps, pp, pe, pp마대, 타포린 뜻 (0) | 2023.05.18 |
지진 4.5 발생 뉴스 (0) | 2023.05.15 |
정수기 필터 배출방법 (0) |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