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음식물류 폐기물에 해당되는 것
- 식품의 조리 · 가공 · 생산 ·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농 · 수 · 축산물류 폐기물
- 생선 부산물, 먹고 남은 음식물찌꺼기
- 사과, 귤, 수박 등 과일류
- 상한양파 / 가공처리하기 때문에 사료화 가능
- 잡곡 / 포장을 뜯지 않은 미개봉품은 일반쓰레기로 배출가능.
( 음식믈쓰레기를 동물이 먹을 수 있는 것이라는 기준은 과거 80-90년대에는 대부분의 음식물처리를 동물들에게 끓여서 직접먹이로 썼었으나 현재는 분류하고 가공하여 사료화되거나 퇴비화 되는 경우가 더욱 많다. )
재활용이 안 되는 음식물류는 일반 쓰레기 종량제봉투에 배출
- 과일류 : 딱딱한 껍데기(호두, 밤, 파인애플 등), 씨(복숭아, 살구 등)
- 육류 : 털 및 뼈다귀(소, 돼지, 닭 등)
- 어패류 : 어패류 껍데기(조개, 소라, 전복, 굴 등)
- 기타 : 1회용 티백(종이, 헝겊 등으로 포장된 1회용 티백차 등)
음식물쓰레기는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분배출
- 동물의 먹이가 될 수 있는 것(사료화 가능한 것)은 음식물쓰레기입니다.
채소류 | 고추대 | 방앗간, 재배 농가에서 고추대가 다량으로 배출되는 경우 일반쓰레기로 배출 |
양파껍질,마늘껍질,옥수수 껍질,옥수수대 | 음식물쓰레기로 보기 어려운 건조하고 딱딱한 껍질 | |
곡 류 | 왕겨 | |
과일류 | 호두,밤,땅콩,도토리,코코넛 등의 딱딱한 껍데기 | 분쇄시설의 고장 방지 등 재활용시설의 적정 처리를 위해 지나치게 딱딱한 물질이나 큰 뼈(족발 뼈, 사골 뼈 등)배출은 소량일 경우 일반쓰레기로 배출하고, 대량일 경우 특수마대(PP마대)에 배출하고 수거업체에 신고 |
복숭아,살구,감 등 핵과류의 씨 | ||
육류 | 소,돼지,닭 등의 털 및 뼈다귀 | |
어패류 | 조개, 소라, 전복, 꼬막 ,멍게, 굴 등 패류 껍데기 | |
다랑어과(참치 등)의 큰 뼈 | ||
찌꺼기 | 각종 차류(녹차등)찌꺼기, 한약재 찌꺼기 | 종이 헝겊 등으로 포장된 1회용 녹차 등을 말하며, 물기를 제거하고 말린 뒤 일반쓰레기로 배출 |
귤껍질은 음식물 쓰레기 인가요 ? 그렇습니다.
귤, 바나나, 사과 등의, 껍질과 딸기, 토마토 등의 꼭지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워 가축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합니다.
2020 내 손안의 분리배출애 사례 200 QNA
2019년 내 손안에 분리배출앱 100 QNA(환경부)
◆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 어떻게 구분할까요?
음식물 쓰레기는 가공 후 퇴비, 바이오 연료, 가축의 사료 등으로 쓰입니다.
그러므로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가축의 사료로 사용 가능 여부’를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하는 식품에 대해서 알아봐요!
- 채소의 마른 껍질과 뿌리
양파, 파, 마늘 등 채소의 마른 껍질과 뿌리에는 가축의 소화능력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있어 일반 쓰레기로 배출
- 과일류
복숭아, 살구, 감, 체리, 망고 등 핵과류의 크고 딱딱한 씨앗과 파인애플, 코코넛 등의 딱딱한 껍질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
- 견과류
호두, 밤, 땅콩 등 견과류의 껍질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육류
소나 돼지, 닭 등의 털과 뼈다귀, 비계, 내장 역시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알 껍질
달걀, 오리알, 메추리알 등의 껍데기는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어패류
홍합, 조개, 소라, 전복, 꼬막, 멍게, 굴 등의 껍데기와 생선의 내장*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생선의 내장은 포화지방산이 많아 사료로 사용할 수 없음
- 찌꺼기 등
일회용 티백, 한약재, 커피 등의 찌꺼기는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장류
고추장, 된장 등의 장류는 염분이 많아 가축의 사료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소금기가 있는 음식
김치와 같이 소금기가 있는 음식은 물에 헹구어 소금기를 덜어내면 음식물 쓰레기 그렇지 않다면 일반 쓰레기로 배출
◆ 그래서 귤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인가요?
- 그렇습니다!
* 생선의 내장은 포화지방산이 많아 사료로 사용할 수 없음
- 찌꺼기 등
일회용 티백, 한약재, 커피 등의 찌꺼기는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장류
고추장, 된장 등의 장류는 염분이 많아 가축의 사료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소금기가 있는 음식
김치와 같이 소금기가 있는 음식은 물에 헹구어 소금기를 덜어내면 음식물 쓰레기 그렇지 않다면 일반 쓰레기로 배출
◆ 그래서 귤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인가요?
- 그렇습니다!
지자체별 음식물쓰레기 배출요령 안내
표어 :
차릴 때는 먹을 만큼, 먹을 때는 남김없이
은근 슬쩍 버린 음식, 다시 보면 값진 자원
먹은 음식 큰 힘 되고, 남긴 음식 큰 짐 된다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푸른 미래를 여는 약속입니다
담을 때는 조금 적게! 먹을 때는 남김없이!
생쌀은 음식물쓰레기일까? 쌀의, 경우 단단한 씨앗처럼 음식물처리기로 다량이 투입되는 경우 기계고장을 일으킬 수가 있다. 한 두 팩 정도 소량을 단발성으로 버리는 경우는 상관이 없지만 지속적으로 다량을 버리게 되는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보다는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바랍직하다. 하지만 지자체의 음식물쓰레기 담당자들도 동물이 먹을 수 있는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로 버리도록 알려주지만, 실재 현장에서는 음식물쓰레기보다는 일반쓰레기로 버리기를 권고하고 있다.
http://www.kwaste.or.kr/bbs/board.php?bo_table=board1&wr_id=539
환경부 "내 손안의 분리배출앱 QNA"
1. 오래된 쌀: 오래된 쌀인데 벌레가 생긴 것 같아요. 어떻게 버리는 게 나은가요?
곡식에 벌레가 있는 경우라도 사료와 퇴비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시기 바랍니다.
2. 새우젓: 새우젓유통기한이 자나서 버려야하는데 유리병의 거의 90%가 차여있습니다. 어떻게 버려야하나요ㅠ
음식물쓰레기는 사료화, 퇴비화, 바이오가스화,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사료화방법으로 처리될 경우 새우젓은 음식물 쓰레기 보다는 종량제봉투로 배출해 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 외의 방법으로 처리가 된다면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지역별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지자체 청소담당과에 문의하셔서 처리방법과 배출방법을 확인하신 후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상한 계란: 상한 계란은 어떻게 버리나요??
상한계란 등의 부패한 음식물은 재활용 과정에서 탈수, 건조, 멸균 과정을 거쳐 사료원료 또는 퇴비원료로 이용되기 때문에 부패한 음식물이라도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다만 계란 껍데기는 음식물쓰레기에 해당되지 않으니 제거한 후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멸치: 멸치 몸통과 분리한 내장과 머리는 음식물쓰레기인가요? 일반쓰레기인가요?
음식쓰레기에서 제외되는 항목에 복어내장은 포함되어 있지만 독성이 없는 일반 생선 내장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멸치와 같은 일반 생선 내장은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시면 되겠습니다.
5. 귤껍질: 겨울철 많이 먹는 귤껍질 버리는 방법? 음식물로 버리는데 어떤 분은 말리면 일반쓰레기로 버려도 된다 하는데 맞는지요?
과일껍질의 경우 동물의 사료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다만, 코코넛과 파인애플 등의 딱딱한 껍질이나 복숭아, 살구, 감 등의 핵과류 씨는 기계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동물의 사료로 적합하지 않으므로 종량제봉투에 담아서 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6. 된장, 고추장: 된장이나 고추장류 같은 것도 음식물쓰레기로 버려야하나요??? 버리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음식물쓰레기는 사료화, 비료화, 바이오가스화,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문의하신 된장이나 고추장의 경우, 사료화로는 부적합하나 그 외의 방법으로는 처리 가능하므로 만약 사료화의 방법으로 처리된다면 일반종량제봉투에 배출하시고, 그 외 방법으로 처리된다면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지역별로 처리방법이 다르므로 해당 지자체의 청소담당과에 처리방법과 배출방법을 문의하여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7. 잡곡, 소금: 집에 안 먹는 잡곡 종류와 소금이 몇 포대 있습니다. 어떻게 버려야하나요?
곡식류는 음식물류폐기물로 배출하시면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소금은 염소성분이 들어있어서 음식물로 배출하시면 안 되고요. 일반종량제로 배출하시면 소각 처리하는데 소각로 클링커 및 대기배출가스 중 염화수소의 발생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소금을 배출하실 때는 매립 전용 불연성 마대에 담아서 배출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8. 뻥튀기: 날짜 지난 뻥튀기는 음식물쓰레기로 버려야 하나요? 부피가 커서 고민되네요..
음식물쓰레기는 유통기간이 지나거나 부패된 음식도 음식물종량제 봉투에 배출하셔야 됩니다.
'생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소용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전기료 부담에 A/S 문제 발생 등 (0) | 2022.07.06 |
---|---|
대전 갈만한 식당 모음 (0) | 2022.07.06 |
마라탕 위생문제 (0) | 2022.07.04 |
인도 화장실과 여성 안전 수준, 치안문제 인도 TMI (0) | 2022.07.03 |
'최강전설 쿠로사와' 한 남자의 인생을 그린 만화 (0) | 2022.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