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태극기의 올바른 게양 및 관리 방법
○ 행사장 국기 게양 - 실내·외 행사를 막론하고 행사장에 국기를 게양할 때에는 실물 국기를 게양하여야 함(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12조 제2항)
※ 다만, 보조적으로 발광화면이나 스크린 등을 활용하여 국기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되 실물 국기를 게양하지 않은 채 발광화면이나 스크린 등을 통해 영상만으로 국기를 보여주어서는 아니됨.
○ 깃대형 게양 - 깃대형 국기를 게양할 때에는 태극문양의 빨간색이 오른쪽에 오도록 하여 늘어뜨려 달아야 함(국기의게양·관리및선양에관한규정제11조제4항) - 깃대형의 경우 기관장실, 부서장실 등의 개인집무공간인 경우에는 앞에서 집무탁상을 바라보아 집무탁상 뒤 왼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회의실 또는 강당의 경우에는 앞에서 단상을 바라보아 단상 왼쪽에 위치하도록 한다.(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11조 제5항) - 게양대를 설치하는 경우 그 총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국기게양대를 중앙에 설치하고, 짝수인 경우에는 앞에서 바라보아 중앙에서 왼쪽 첫 번째에 설치한다.(대한민국국기법 시행령 제11조)
○ 국기의 깃면을 늘여 벽면에 게양 방법 - 국기의 깃면을 늘여서 게양하는 경우는 이괘(☲)가 왼쪽 위로 오도록 하여야 함(대한민국국기법 시행령 제14조)
○ 가로기 게양 - 가로변에 대칭하여 2개의 국기를 늘여 게양할 때(배너형 가로기)는 왼쪽 국기의 건괘(☰)는 왼쪽 위, 오른쪽 국기의건괘는 오른쪽 위로 가도록 해야 함(대한민국국기법 시행령 제14조, 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9조제8항) - 2 - - 가로기용 국기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높이와 방향 등을 적절하게 설치하여야 한다.(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 양에 관한 규정 제9조제3항) - (V자형 꽂이)는 도로와 인도의 경계선과 나란히 하여 기둥의 도로 방쪽 면에 하나의 몸체로 설치 하고 V자형의 내각은 90도 이내로 하 여 부채꼴모양이 되도록 하고, V자형 꽂이와 배너형 꽂이를 함께 설 치할 때에는 V자형 꽂이를 배너형 꽂이보다 높게 설치하고, 이 경우 국기를 다른기보다 아래쪽에 게양해서는 아니된다.(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9조제4항제5항) - 국기와 다른기를 함께 게양할 경우에는 차량진행방향에서 바라보아 국기는 왼쪽, 다른기는 오른쪽에 위치 한다.(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9조제7항)
□ 기관 협조사항
○ 국기 관련 법령*을 숙지하여 공직자 등 교육·홍보를 강화하고, 소속·산하기관 및 시군구에도 적극 안내 - 사장에 실물 국기를 게양하지 않은 채 발광화면이나 스크린 등을 통해 영 상만으로 국기를 보여주는 사례가 없도록 행사 태극기 점검 철저 - 실내행사장 또는 방송 송출시에 깃대형 국기를 외국기 또는 다른기와 게양 할 때 대한민국국기법 시행령 제11조 4항 설치방법을 통해 잘못 설치 하는 사례가 없도록 행사 태극기 점검 철저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국가상징 알아보기」배너(각 기관 대표 홈페이지 연계), 국기 관련 법령(대한민국국기법, 대한민국국기법 시행령, 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참조
○ 청사 등에 게양(실내포함)된 국기의 깃면 및 가로기 등 수시 점검 후 조치
※ 오염·훼손된 국기는 즉시 교체하고, 국기게양대 상태를 월 1회 이상 정기 점검하여 변색 또는 파손된 국기게양대는 보수·교체(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17조) - 3 - 붙임 올바른 국기 게양 방법 참고 자료
□ 행사장 국기 게양 시 올바른 게양(실물 국기+영상화면) 잘못된 게양(영상화면만 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