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싶은데, 힌디어를 보면 호기심이 생긴다.
힌디어는 데바나가리(Devanagari) 문자로 표기됩니다. 데바나가리 문자는 여러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힌디어의 자음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힌디어 자음은 총 33개가 있으며, 이 자음들은 발음되는 위치와 방식에 따라 분류됩니다. 주요 자음과 그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UvjM1Sum9E
무성 자음 (Unvoiced Consonants)
- क (ka)
- ख (kha)
- ग (ga)
- घ (gha)
- ङ (ṅa)
치경음 (Alveolar Consonants)
- च (ca)
- छ (cha)
- ज (ja)
- झ (jha)
- ञ (ña)
치조음 (Dental Consonants)
- ट (ṭa)
- ठ (ṭha)
- ड (ḍa)
- ढ (ḍha)
- ण (ṇa)
경구개음 (Palatal Consonants)
- त (ta)
- थ (tha)
- द (da)
- ध (dha)
- न (na)
연구개음 (Velar Consonants)
- प (pa)
- फ (pha)
- ब (ba)
- भ (bha)
- म (ma)
반모음 (Semivowels)
- य (ya)
- र (ra)
- ल (la)
- व (va)
치찰음 (Sibilants)
- श (śa)
- ष (ṣa)
- स (sa)
후음 (Glottal Consonant)
- ह (ha)
이 외에도 힌디어에는 몇 가지 결합 문자(Conjunct Consonants)와 변형된 형태의 자음이 있습니다. 자음은 모음과 결합하여 다양한 소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힌디어를 더욱 풍부하고 표현력 있게 만듭니다.
힌디어는 데바나가리(Devanagari) 문자로 표기됩니다. 데바나가리 문자는 여러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힌디어의 자음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힌디어 자음은 총 33개가 있으며, 이 자음들은 발음되는 위치와 방식에 따라 분류됩니다. 주요 자음과 그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성 자음 (Unvoiced Consonants)
- क (ka)
- ख (kha)
- ग (ga)
- घ (gha)
- ङ (ṅa)
치경음 (Alveolar Consonants)
- च (ca)
- छ (cha)
- ज (ja)
- झ (jha)
- ञ (ña)
치조음 (Dental Consonants)
- ट (ṭa)
- ठ (ṭha)
- ड (ḍa)
- ढ (ḍha)
- ण (ṇa)
경구개음 (Palatal Consonants)
- त (ta)
- थ (tha)
- द (da)
- ध (dha)
- न (na)
연구개음 (Velar Consonants)
- प (pa)
- फ (pha)
- ब (ba)
- भ (bha)
- म (ma)
반모음 (Semivowels)
- य (ya)
- र (ra)
- ल (la)
- व (va)
치찰음 (Sibilants)
- श (śa)
- ष (ṣa)
- स (sa)
후음 (Glottal Consonant)
- ह (ha)
이 외에도 힌디어에는 몇 가지 결합 문자(Conjunct Consonants)와 변형된 형태의 자음이 있습니다. 자음은 모음과 결합하여 다양한 소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힌디어를 더욱 풍부하고 표현력 있게 만듭니다.
힌디어의 모음은, 독립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자음과 결합하여 다양한 소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힌디어 모음은 11개가 있으며, 그 목록과 발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독립 모음 (Independent Vowels)
- अ (a) - '아' 소리, 짧은 발음
- आ (ā) - '아' 소리, 긴 발음
- इ (i) - '이' 소리, 짧은 발음
- ई (ī) - '이' 소리, 긴 발음
- उ (u) - '우' 소리, 짧은 발음
- ऊ (ū) - '우' 소리, 긴 발음
- ए (e) - '에' 소리
- ऐ (ai) - '아이' 소리
- ओ (o) - '오' 소리
- औ (au) - '아우' 소리
- ऋ (ṛ) - '르' 소리
부수 모음 기호 (Dependent Vowel Signs)
힌디어에서 자음과 결합할 때는 모음 기호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क (ka)라는 자음에 모음 기호를 붙여서 다른 발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 क (ka)
- का (kā)
- कि (ki)
- की (kī)
- कु (ku)
- कू (kū)
- के (ke)
- कै (kai)
- को (ko)
- कौ (kau)
- कृ (kṛ)
예시
- क + ा = का (kā)
- क + ि = कि (ki)
- क + ी = की (kī)
- क + ु = कु (ku)
- क + ू = कू (kū)
- क + े = के (ke)
- क + ै = कै (kai)
- क + ो = को (ko)
- क + ौ = कौ (kau)
- क + ृ = कृ (kṛ)
이와 같이, 힌디어 모음은 독립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자음과 결합하여 다양한 소리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모음 기호를 자음에 붙여 다른 발음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꼴값떤다'의 유래 (0) | 2023.11.18 |
---|---|
것투성이다 VS 것 투성이다 (0) | 2022.03.07 |
트름과 트림 절대 틀리지 않는 방법 (0) | 2022.01.29 |
환영합니다 환영 합니다 띄어쓰기 (0) | 2022.01.23 |
얼만큼 얼마큼 ? 얼마큼(O) (0)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