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가 풍부한 1월 수산물과 농산물 소개
추운 겨울 날씨에 별미인 1월 수산물을 소개한다.
1. 김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좋은 김은 우리 국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이 사랑하는 수산물이다.
특히 우리나라 김은 ’21년 기준 전 세계 김 시장의 70%를 차지할 만큼 수출 효자상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김은 단백질이 가장 풍부한 해조류로 알려져 있는데, 마른김 5장은 달걀 1개와 비슷한 단백질을 함량을 가지고 있다.
칼슘과 인, 철과 같은 무기질이 풍부해 ‘바다가 인간에게 준 선물’이라고 불린다.
김은 주로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발라서 구워 먹기도 하고, 좌반, 부각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두부에 김을 붙인 후 그 위에 양념을 입혀 바싹하게 구워낸 김두부조림은 겨울철 별미다.
2. 과메기
겨울철 별미인 과메기는 추운 겨울철 꽁치나 청어를 차가운 바닷바람으로 건조해 만든다.
수분이 날아가고 기름기는 배어 나와 고소한 맛이 일품이며, 류신, 라이신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과 함황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일반적으로 과메기는 미역, 김과 함께 쌈을 싸서 주로 먹는다.
과메기를 처음 먹는 사람들은 과메기에 양파와 애호박, 당근, 쪽파를 잘게 다지고 노릇하게 구워 만드는 과메기 전을 추천한다.
<자료=해양수산부>
영양소 풍부한 1월 농산물 2가지를 소개한다.
1. 달콤한 향 ‘딸기’
향과 맛이 뛰어난 딸기는 샌드위치부터 주스, 샐러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저트에 안성맞춤이다.
딸기는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 좋으며,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 심장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보관법
상자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냉장 보관 시 꼭지를 떼지 말고 랩을 씌워 보관한다.
2. 달달하고 든든한 ‘겨울 배추’
김치뿐 아니라 무침, 국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배추는 일 년 사계절 식탁을 든든하게 채워주는 대한민국 대표 식재료이다. 배추에는 식이섬유 함유량이 풍부해 장의 활동을 촉진해 주며, 배추의 푸른 잎에는 베타카로틴이 함유되어 면역력을 강화한다.
▲ 고르는 법 : 뿌리에 검은 테가 있는 것은 피하고, 겉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속잎은 노란색을 띠는 것이 좋다.
<자료=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