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 없애는 법 10가지
정전기는 기온 25도이하, 습도 20%이하의 환경에서 잘 발생합니다. 정전기 없애는 방법.
최근 내가 하는 방법은 우선 문을 만지기 전에 팔꿈치(옷입은상태에서)로 벽에 먼저 접촉을 한 뒤에 손잡이를 잡아주는데 이렇게 하면 정전기가 많이 줄어든다.
1. 문을 열기전에 벽을 먼저 만진다.
전기를 천천히 통과시키는 콘크리트, 나무, 돌 등을 먼저 만지고 나서 문을 여세요.
또한 차 문을 열 때 문고리에 입김을 불어 넣거나 동전이나 열쇠로 차를 가볍게 두드린 후 차 문을 여는 것도 좋은데요, 정전기가 발생될 것 같은 것에는 습기를 불어넣어줄 수 있는 입김을 사용해 정전기를 중화시킵니다.
2. 금속물건을 들고 금속을 만진다.
열쇠 등 금속제 물건을 꼭 쥐고 다른 금속을 만지면 방전시킬 수 있습니다.
3. 주위습도를 높게 한다.
사무실에 전자제품으로 인해 정전기가 몸에 쌓이게 된다. 가습기를 켜두고 습도를 50~60%정도로 유지하면 정전기가 줄어듭니다.
4. 핸드크림 등 보습로션으로 손의 건조를 방지한다.
보습이 정전기 없애는 방법 중 하나이므로 특히 손건조방지위해 핸드크림을 발라주어 손의 보습을 유지한다. 물을 많이 먹는 것도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높여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직접 실내 환경과 피부의 습도를 높이는 게 효과적이다.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빨래 등을 널어놓는 게 좋다. 핸드크림 역시 중요하다. 특히 요즘같이 손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손 소독제를 자주 사용할 때라면 더 그렇다.
5. 헤어트리트먼트로 머리카락 수분함양을 높여 건조 방지한다.
헤어트리트먼트로 헤어보습을 해 줘야 합니다. 샴푸를 너무 많이, 자주 하는 것도 정전기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머리를 감을 때는 샴푸 후 린스, 트리트먼트 등을 꼭 사용해 수분을 공급하고 모발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게 좋다. 머리는 최대한 자연바람에 건조하고, 모발에 물기가 남은 상태로 에센스 등을 바르는 게 도움이 된다. 머리를 빗을 때는 전도율이 낮은 나무 빗을 사용하는 게 좋다. 이처럼 린스나 트리트먼트를 사용해 모발표면에 보호막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 플라스틱이나 나일론 빗을 쓸 때는 머리를 빗기 전 물에 살짝 담갔다 사용하거나 헤어오일을 바르면 정전기를 막을 수 있다.
6. 헤어정전기 방지위해 천연소재 브러시 사용
머리를 빗을 때 플라스틱소재가 아닌 천연소재 브러시를 사용해 보세요. 머리빗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보다는 나무로 된 빗이 좋답니다.
7. 정전기 방지기능이 있는 섬유유연제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빨래를 할 때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것도 정전기 없애는 법 중 하나입니다.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구연산을 넣고 마무리 헹굼을 해보세요.
8. 정전기 방지 도구를 사용한다.
정전기 없애는 전자제품을 구입하면 정전기를 줄일 수 있다. 전자적인 방식으로 정전기를 이동시켜서 줄여준다
9. 키보드 커버를 통해 전자의 이동을 차단시킨다.
실리콘으로 커버를 씌우면 키보드에서 집진되는 정전기를 일부 차단하여 정전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요새는 무선 키보드를 많이 이용하고 키보드가 개방된 경우 키보드를 통해 전자가 손가락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있다.
10. 자동차 열쇠나 손톱으로 차 문을 톡톡 친 뒤에 연다.
차나 문에 머물러 있던 정전기가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자동차 문을 열때 정전기가 자주 발생하면 금속으로 된 열쇠나 동전 등으로 미리 만져서 쌓여있는 전기를 털어낸 후 열면 된다. 이 때 문고리를 잡기 전 손바닥에 입김을 불어 습기를 만들어주거나, 손톱을 세워 문고리에 1~3초 정도 댄 후에 잡는 것이 좋다.
11. 사무용 클립이나 집게, 동전, 옷핀 사용한다.
클립이나 동전, 옷핀 등을 사용해 전기를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다. 정전기가 잘 발생하는 주변에 동전을 놔두거나, 옷 끝에 클립을 달아주면 전자가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 클립을 옷에 꽂아놓고 다니면 정전기 발생이 많이 줄어든답니다. 이렇게 클립 등을 전도체로 활용하면 손에 쌓인 정전기가 전도체를 통해서 빠져나가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발생하더라고 충격이 줄어들게 된다. 클립이 대표적이지만 동전이나 열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쇠로 된 손잡이는 전도체로 툭툭 건드린 다음에 잡으면 된다.

12. 틈틈히 분무기에 물을 담아 옷이나 주변에 뿌리기.
책상에 분부기를 하나 놓고, 틈틈히 분무기에 물을 담아 옷에 뿌리기. 정전기가 나서 몸에 들러붙는 부분에 물을 뿌려준다. 빈 윈덱스 용기나 화초에 물을 줄 때 사용하는 분무기를 사용한다. 물을 너무 많이 뿌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전기가 나는 곳만 살짝 적신다. 이렇게 하면 정전기를 빨리 없앨 수 있다.
13. 사무실 바닥에 알루미늄 포일을 깔아둔다.
정전기가 쌓이지 않도록 신발 바닥 주위에 알루미늄 포일을 붙여도 된다. 하지만 맨발로 돌아다니는 것이 더 쉽다.
14.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를 뿌린다.
15. 정전기 방지 팔찌 착용하기
(전자적 방식이 아니면 효과는 적다.)
16.가정에서는 맨발 상태로 바닥과의 접지를 통해 전류를 흘려보낸다.
17. 10원짜리 동전을 전자제품 주변에 두기
TV나 컴퓨터 모니터 주변에 10원짜리 동전을 놓아두거나 숯을 놓아두어요. 10원짜리 동전이 구리성분이 있어서 구리가 전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볼 수 있거든요. 숯은 습기를 배출하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숯을 실내에 놔두면 정전기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답니다.
18. 물을 끓이거나 어항, 화분, 가습기 설치 및 수건 등 젖은 빨래 널기
19. 평소에 물을 많이 마셔 수분을 높인다.
20. 창문을 열어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21. 손을 씻거나 입김을 불어 손을 습하게 한다.
분함량 높이는 게 관건, 따라서 정전기 방지의 핵심은 수분함량을 높여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습도를 40~60% 정도로 유지하는 게 정전기 방지에 효과적이다. 건조한 계절일수록 물을 더 많이 마시고, 손과 몸에 보습제를 발라 촉촉하게 유지하는 게 좋고 보습제가 없다면 손을 씻거나 물티슈를 종이컵등에 담아 물을 적셔둔 상태에서 가끔 손가락을 담가 촉촉하게 해준다. 수분만 높여도 정전기는 줄어든다. 실제로 습도가 10~20%인 날에 사람이 카펫 위를 걸으면 약 35,000볼트의 정전기가 발생하지만, 습도가 60~90% 이상일 때는 1,500볼트의 정전기가 발생한다고 한다.
22. 스웨터 등 니트류 의류를 보관할 때는 그 사이사이에 신문지나 순면옷을 넣어 보관하기.
23. 섬유 유연제와 린스를 사용한다.
24. 텔레비전 등 가전제품은 식초를 묻인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 정전기를 방지한다.
25. 차량 주유시에는 주유가 끝날 때까지 절대 이동하지 말아야 해요.


정전기의 위험성
합성섬유 20,000V, 스웨터 6,000V, 겨울철 머리카락의 정전기의 전압은 39,000V정도. 또한 의자등에서 나타나는 정전기는 약 29,000V, 텔레비젼 약 60,000V의 정전기가 발생하기도 한답니다. 이렇게 정전기는 순간적으로 수천 수만볼트의 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순간적인 정전기의 방전에너지가 가연성 가스 및 유증기와 만나면 폭발할 가능성이 있지요.
화재 및 폭발
가연성 물질이 공기등과 혼합하여 폭발한계 내에 있을 때 최소 착화에너지 이상의 정전기기 발생하면 화재 및 폭발로 이어질 수 있어요.
생산장애 반도체 제품등에 불량품 및 메모리 저장 장치의 훼손을 일으킬 수 있다. 석유취급소 다수의 사건이 정전기로 인한 사고이며 미국의 경우 주유소에서 매년 150건의 정전기에 의한 사고가 발생한다고 해요. 주유소는 다량의 유류를 취급하고 있어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주의가 필요하죠.
정(靜고요할 정)전기, 도대체 무엇일까?
주로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는 우리 몸과 물체가 닿으면 전자를 주고받을 때 몸과 물체에 전기가 저장됩니다. 그리고 적절한 유도체에 인체가 닿게 되면 쌓였던 전기가 순식간에 이동하면서 ‘찌릿’하며 정전기를 발생시키는데요. 정전기가 옮겨지는 순간의 전압은 수만V에 달한다.
즉 건조하고 추운 겨울일수록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겨울에는 옷을 많이 껴입게 됨으로인해 잘 발생하기도 합니다.
플러스 전기를 띠기 쉬운 것 : 마, 면, 가죽, 실크, 레이온, 나일론, 울
마이너스 전기를 띠기 쉬운 것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염화비닐
플러스 전기와 마이너스 전기가 마찰을 일으키면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정전기 잘 생기는 체질
건조한 피부
: 피부표면에서 방전되기 어려워 짜릿한 정전기가 자주 발생합니다.
산성체질
: 원래 사람의 몸은 알칼리성입니다. 하지만 스트레스, 피로로 인해 산성이 되기 쉽습니다.
사람의 이온균형이 무너지면서 플러스 전기를 띤 상태가 되어 정전기가 잘 생기는 체질이 됩니다
제전기(이오나이저)에 의한 정전기 제거의 원리
그 답은 「이온」에 있습니다. 제전기(이오나이저)는 이온을 발생시켜 대상 물체에 부딪힘으로써 정전기를 제거합니다. 그렇다면 이온은 무엇일까요? 이온이라는 단어는 알고 있어도 실제로 어떤 것인지는 잘 모르는 분도 많을 것입니다.
https://www.keyence.co.kr/ss/products/static/static-electricity/step/ionizer.jsp